[풍수연재] 주암선생 문화탐방 64회 ...청송당(靑松堂) 도응(都膺)

기사입력 2024.04.01 23:49
댓글 0

위 URL을 길게 누르면 복사하실 수 있습니다.

  • 기사내용 프린트
  • 기사 스크랩
  • 기사 내용 글자 크게
  • 기사 내용 글자 작게

사본 -AS17D2.png

(한국풍수신문)

 

[한국풍수신문]  주암선생 문화탐방 64회 ...청송당(靑松堂) 도응(都膺)


도응(都膺)[?~?]은 고려 말의 충신으로, 두문동 72현 중 한 사람이다. 조선 태조 이성계(李成桂)의 죽마고우였다고 한다. 도응의 본관은 성주(星州), 초명은 도유(都兪), 자는 자예(子藝), 호는 청송당(靑松堂)이다.

 

예산 지역 성주도씨(星州都氏) 입향조로 고려 우왕 때 과거에 급제하여, 고려 말에 찬성사를 지내다가, 1392년(태조 1) 태조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자 불사이군의 절의를 지켜 벼슬을 버리고 홍주 노은동[현 충청남도 홍성군 홍북면 노은리]에 은거하였다. 이후 친구와의 옛 정을 생각한 태조 이성계가 상장군에 임명하고 다섯 번이나 조정으로 불렀으나 모두 거절하였다고 한다.

 

사본 -AS4DD6.png

 

도응은 문장에 능하였다고 전하며, 「어사시(御賜詩)」 1수, 「두문동비표(杜門洞碑表)」 14자, 「사제문(賜祭文)」과 「부조현연구(不朝峴聯句)」가 각 1편씩 남아 있다. 도응의 묘소는 예산군 응봉면 계정길 9-20[지석리 산141-16]에 있다. ‘도응선생묘 일원(都膺先生墓一圓)’이라는 명칭으로 충청남도 기념물 제90호로 지정되었으며, 후손들이 사당인 경충제(敬忠齊)를 지어 도응의 제사를 모시고 있다.

 

도응은 1808년(순조 8) 성주 운천서원(雲川書院)과 장성 경현사(景賢詞), 개성 두문동서원(杜門洞書院)에 배향되었다. 조선 건국 이후 태조가 1393년(태조 2)부터 1397년까지 도응에게 하사한 사령왕지 4매와 녹패 등 5매의 고문서가 일괄 보물 제724호[성주도씨 종중 문서 일괄 ]로 지정되어 있다. 

 

이 문서들을 통해 조선 개국 초 도응과 태조의 관계를 알 수 있으며, 조선 전기 관제의 변천 과정, 새보[국왕의 도장]의 사용 경위, 그리고 서체나 고문서의 양식 등을 연구하는 데도 매우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향토문화전자대전.)


● 풍수적 고찰

태조 이성계는 죽마고우이면서도 불사이군(不事二君)의 길을 걸은 친구를 위해 당대 최고의 지사(地師)이자 국사(國師)인 무학대사에게 의뢰해 유택(幽宅)까지 신경을 써 우정을 나눈 청송당 도응(都膺) 선생이 안거(安居)하고 있는 유택(幽宅)은 어떤 곳인가?

 

도응 선생의 유택은  매봉산(173.2m)의 정기가 응축된 곳으로 배가 허기진 매가 먹이를 호시탐탐 노리는지라 잠시의 방심도 허용치 않아 잔뜩 긴장감이 감돌아 생기가 넘쳐오르는 곳이다. 매봉산에 출맥한 용은 을진(乙辰)의 동남(東南)으로 기복굴곡(起伏屈曲)하다 간인(艮寅)의 동북으로 위이굴곡((逶迤屈曲)을 하여 갑묘룡(甲卯龍)으로 입수(入首)하여 좌정(坐定)하였다.

 

국세(局勢)는 편안한 곳이다. 조.안산은 아미(蛾眉)와 토체(土體)로 부귀(富貴)를 기약한다. 청룡은 면전에까지 환포로 다가오는 청룡작국(靑龍作局)으로 이상적인데 근대에 도로개설로 인해서 중간이 잘려나간 것이 흠이다.

 

백호(白虎)는 양(陽)인 청룡에 비해 다소곳하고 온순하게 다가와 읍하니 화목한 집안을 이룰 수 있는 좋은 곳인데 이 역시 도로가 중간을 싹둑 잘라 남녀 중말자에게 해가 갈까 두렵다. 혈형(穴形)은 첨하(籤下)에서 보면 돌혈(突穴)이요. 도두(到頭)에서 입수룡을 보면 평지룡에서 위이(逶迤)로 오다 서서히 비룡상천(飛龍上天) 우돌혈(柔突穴)에 가깝다.

 

당판은 기(氣)가 꽉 차 손만 대면 금방 터질 듯이 풍만하다. 좌향(坐向)은 유좌묘향(酉坐卯向).진파(辰破)다. 이는 양균송((楊筠松.-834~900. 唐의 국사)의 진신수법의 하나인 차고소수자왕향(借庫消水自旺向).이다.

 

차고소수자왕향은 임관룡(臨官龍).우선룡(右旋龍)에 좌수도우(左水到右). 갑묘향(甲卯向)에 을진파(乙辰破)는 시(詩)의 유유쇠방가거래[惟有衰方可去來-쇠방으로 물이 나가도 되고 들어와도 좋다)에 합당하고 발부발귀(發富發貴).하고 오래살고 인정(人丁)이 왕한다.

 

간방수(艮方水)가 들어오면 삼길육수(三吉六秀)의 수(水)가 되어 비상한 인재(人才)와 문장(文章)이 나고 급제한다. 처음에는 아무리 좋은 길지(吉地)라도 후대에 와 환경변화로 인해 길지가 흉지(凶地)로 변할 수 있으니 후손들은 방심보다는 지속적인 묘역관리와 주변의 환경변화와 지형도 살피는 자세가 필요하다.






[윤명선 기자 ti2@rokfnews.com]

위 URL을 길게 누르면 복사하실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한국풍수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댓글0
이름
비밀번호
 
신문사소개 | 광고안내 | 광고문의 | 기사제보 | 다이렉트결제 | 고객센터 | 저작권정책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독자권익보호위원회 |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 RSS top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